낙후도심 뉴타운 환골탈태-중도일보
45개 정비지구 구별 5개권역 묶어
총괄계획가 임명 난개발방지 기대
민간사업지구 주민합의 도출 숙제
지난 14일 대전시는 5개 구에 걸쳐 각각 1곳의 대전지역 도시재정비촉진사업(일명 뉴타운 사업)예정지구 112만6000평을 선정, 발표했다. 구별로 중구 오룡지구(19만6000평), 동구 신흥지구(19만2000평), 서구 도마변동지구(51만1000평), 대덕구 신탄진지구(12만5000평), 유성구 유성시장지구(10만2000평)가 결정됐다.
이와 함께 이들 지구에는 중구 10곳, 동구 11곳, 서구 16곳, 대덕구 6곳, 유성구 2곳 등 모두 45곳의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지구가 각각 포함된 상태다.
도시재정비촉진사업은 개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도시정비사업지구를 한데 묶어 아파트단지 집중화 등의 난개발을 막기 위한 작업으로 늦어도 다음달 중에 임명되는 총괄계획가의 지휘를 통해 추진된다.
이러한 가운데 인근 사업지구간의 생활권역별 개발을 통해 개별적인 개발이 아닌 통합`균형적인 도시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대전 서남부 택지개발과 더불어 후손들에게 물려줄 수 있는 미래 첨단도시인 대전을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도 부풀고 있다.
하지만 균형개발의 미래를 꿈꿔야 하는 대전 뉴타운 개발사업은 지구별로 교통 문제 해결을 비롯해 기반시설, 입지환경 활용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또 민간주체로 추진되는 재개발 등의 도시정비사업이 촉진지구에 포함돼 있기 때문에 해당사업지구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에게 사업계획 등을 충분히 이해시키는 동시에 상호간의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더불어 사업지구 내 개별 도시정비사업의 서로 다른 진행 속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변수 등도 충분히 살피는 등 총괄사업계획가의 역할이 재정비촉진사업의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강규 대전시 도시건설방재국장은 “사업지구 당 3000만원의 재정비촉진지구 지정 용역비와 10억원 규모의 촉진계획수립 용역비가 제공되며 우선적으로 적당한 총괄사업계획가를 임명하는 부분이 관건이 될 것”이라며 “이번 재정비촉진사업을 통해 도시의 균형개발은 물론 실질적인 주거환경의 질을 한 단계 높이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